김상옥. "경제활동을 지속해온 무학고령여성의 심리사회적 특성." 국내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2019. 충청…
페이지 정보

본문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활동을 지속해온 무학고령여성들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노년 삶의 대처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년 이상 경제활동중인 무학고령여성 8명을 대상으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127개의 구성의미, 40개의 주제, 13개의 주제군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무학고령여성의 심리⋅사회적 특성은 ‘강렬한 가난 탈피의 욕구’, ‘기 펴고 살고자 고군분투’, ‘좌절 대신 과감하게 일에 몰입’, ‘일로 체득된 행복’, ‘일 능력에 대한 유능감’, ‘무학에도 굴하지 않는 자부심’, ‘무학에 의한 내면화된 수치심’, ‘가족의 무심함에 실망’, ‘미흡한 모성으로서의 죄책감’으로 나타났다. 노년 삶의 대처는 ‘고령의 삶에 순응’, ‘민폐 되지 않는 부모-자녀 관계의 유지 노력’, ‘나와 타인에 대한 배려의 삶을 소망’, ‘고령 삶의 마무리를 신앙과 동행’으로 나타났다.
발견된 참여자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참여자들은 가난탈피의 강렬한 욕구와 가난과 무학의 서러움을 자녀에게 대물림하지 않겠다는 강한 집념으로 경제활동을 시작하였다. 참여자들은 경제활동을 통해 그동안 발견하지 못했던 유능감과 존재감, 자신감을 회복하며 무학에도 굴하지 않는 당당함을 발견하였다. 참여자들은 노년에도 할 일이 있는 것을 행복해하고 일터 사람들과의 친밀함으로 노년을 활기 있게 보내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최선을 다해 키운 자식들에게 때로는 섭섭해 하면서도 엄마로서 미흡했던 미안함과 후회의 양가감정이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의 노년 삶에 대한 대처는 경제활동에 의해서 터득한 유연성을 바탕으로 하였다. 참여자들은 유연성으로 노년의 한계에 적응하였고 노후와 죽음에 대한 구체적인 준비로 미래의 불안에 대처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책임을 다한 지금의 노년에는 타인을 돌보는 베푸는 삶을 소망하였고 지나온 삶과 남은 노후를 신앙과 동행하며 적응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1930년∼1940 년대에 출생하여 20∼50년간 지속적으로 경제활동을 해온 무학고령여성의 심리사회적 경험을 질적으로 밝힌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긍정적 노화를 위한 자원의 일부를 심층적으로 밝힌 것과 무학고령 및 무학고령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교정하는 자료를 제시한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학력과 행복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시사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상담의 기초자료의 가치를 지닌 것에 의의를 갖는다.
키워드: 무학고령여성, 경제활동, 심리사회적 특성, 노하태도, 성공적 노화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4
- II. 이론적 배경 7
- 1. 고령노인의 특성 이해 7
- 2. 고령기의 경제활동 이해 17
- 3. 선행연구 24
- III. 연구방법 31
- 1. 현상학적 연구방법 31
- 2. 연구진행 과정 33
- 3. 연구참여자 선정 및 특성 35
- 4. 자료수집 방법 40
- IV. 연구결과 44
- 1.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한 분석결과 53
- 2. 참여자들의 진술에 대한 현상학적 기술 91
- V. 논의 96
- 1. 경제활동을 지속해온 무학고령여성의 심리사회적 특성 96
- 2. 경제활동을 지속해온 무학고령여성의 노년 삶의 대처 103
- VI. 결론 및 제언 108
- 1.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108
- 2. 연구의 성과 및 의의 111
- 3. 기독교 상담적 관점에서의 실천적 함의 112
- 4. 연구의 한계와 제언 115
- 참고문헌 117
- 부록 : 1. 연구 참여 동의서 128
- Abstract ............................................................................... 129
- 표 목 차
- <표1> 연구참여자의 기본적 인적 사항 35
- <표2> 도출된 구성의미, 주제, 주제군 44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4
- II. 이론적 배경 7
- 1. 고령노인의 특성 이해 7
- 2. 고령기의 경제활동 이해 17
- 3. 선행연구 24
- III. 연구방법 31
- 1. 현상학적 연구방법 31
- 2. 연구진행 과정 33
- 3. 연구참여자 선정 및 특성 35
- 4. 자료수집 방법 40
- IV. 연구결과 44
- 1.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한 분석결과 53
- 2. 참여자들의 진술에 대한 현상학적 기술 91
- V. 논의 96
- 1. 경제활동을 지속해온 무학고령여성의 심리사회적 특성 96
- 2. 경제활동을 지속해온 무학고령여성의 노년 삶의 대처 103
- VI. 결론 및 제언 108
- 1.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108
- 2. 연구의 성과 및 의의 111
- 3. 기독교 상담적 관점에서의 실천적 함의 112
- 4. 연구의 한계와 제언 115
- 참고문헌 117
- 부록 : 1. 연구 참여 동의서 128
- Abstract ............................................................................... 129
- 표 목 차
- <표1> 연구참여자의 기본적 인적 사항 35
- <표2> 도출된 구성의미, 주제, 주제군 44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4
- II. 이론적 배경 7
- 1. 고령노인의 특성 이해 7
- 2. 고령기의 경제활동 이해 17
- 3. 선행연구 24
- III. 연구방법 31
- 1. 현상학적 연구방법 31
- 2. 연구진행 과정 33
- 3. 연구참여자 선정 및 특성 35
- 4. 자료수집 방법 40
- IV. 연구결과 44
- 1.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한 분석결과 53
- 2. 참여자들의 진술에 대한 현상학적 기술 91
- V. 논의 96
- 1. 경제활동을 지속해온 무학고령여성의 심리사회적 특성 96
- 2. 경제활동을 지속해온 무학고령여성의 노년 삶의 대처 103
- VI. 결론 및 제언 108
- 1.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108
- 2. 연구의 성과 및 의의 111
- 3. 기독교 상담적 관점에서의 실천적 함의 112
- 4. 연구의 한계와 제언 115
- 참고문헌 117
- 부록 : 1. 연구 참여 동의서 128
- Abstract ............................................................................... 129
- 표 목 차
- <표1> 연구참여자의 기본적 인적 사항 35
- <표2> 도출된 구성의미, 주제, 주제군 44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4
- II. 이론적 배경 7
- 1. 고령노인의 특성 이해 7
- 2. 고령기의 경제활동 이해 17
- 3. 선행연구 24
- III. 연구방법 31
- 1. 현상학적 연구방법 31
- 2. 연구진행 과정 33
- 3. 연구참여자 선정 및 특성 35
- 4. 자료수집 방법 40
- IV. 연구결과 44
- 1.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한 분석결과 53
- 2. 참여자들의 진술에 대한 현상학적 기술 91
- V. 논의 96
- 1. 경제활동을 지속해온 무학고령여성의 심리사회적 특성 96
- 2. 경제활동을 지속해온 무학고령여성의 노년 삶의 대처 103
- VI. 결론 및 제언 108
- 1.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108
- 2. 연구의 성과 및 의의 111
- 3. 기독교 상담적 관점에서의 실천적 함의 112
- 4. 연구의 한계와 제언 115
- 참고문헌 117
- 부록 : 1. 연구 참여 동의서 128
- Abstract ............................................................................... 129
- 표 목 차
- <표1> 연구참여자의 기본적 인적 사항 35
- <표2> 도출된 구성의미, 주제, 주제군 44
첨부파일
-
김상옥2018, 경제활동을 지속해온 무학고령여성의 심리사회적 특성,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기독교상담학 전공 박사학위논문.pdf (1.2M)
1회 다운로드 | DATE : 2021-04-16 17:40: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